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5

중국이 종용했던 스리랑카 함반토타 항구 스리랑카의 함반토타 항구의 개발 1972년 국호가 스리랑카로 바뀌었으나 그 안에 있던 양 민족 간의 갈등은 꺼지지 않고, 정치 갈등으로 번져갔다. 결국 1930년 7월 14일 타밀족이 정부군에 반해 내전을 일으켰다. 타밀족이 동부 해안가에서부터 북쪽에 밀집해 살고 있었으므로 내전은 역시 북동쪽 방면에 치우쳐 벌어졌다. 인도 본토에 1억 명에 달하는 타밀족이 함께 봉기할까 두려운 인도 정부는 스리랑카 정부군을 지원했고, 중국은 무기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를 통해 스리랑카 6대 대통령을 역임하게 되는 라자팍사는 정부군을 지휘하며 중국 수뇌부와 자연스레 친밀도를 높여 갔다. 점차 정부군이 승기를 잡아간다. 중국 역시 지속적으로 라자팍사 대통령을 지원했던 대가를 거두게 된다. 라자팍사 전 대통령의 고향 .. 2022. 2. 7.
미국이 잊고 있었던 제조업과 자동차 산업 미국에서는 제조업을 크게 기약하기 어려운 산업으로 치부하려는 경향이 매우 강했다. 경영학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자주 입에 올리는 분야가 바로 금융이다. 상품 자본주의에서 금융 자본주의로 전환된 이후 국제 무역보다는 금융 분야가 집중적인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바로 제조업 기반의 실물인 국제 무역보다는 미래 가치를 평가하고 부풀리는 파이낸스 분야가 중요해졌다는 말이다. 따라서 취업자들 역시 노동의 대가를 기대해야 하는 제조업보다 미래 가치를 직접 만지작거릴 수 있는 금융권을 선호한다. 보상이 보다 크기 때문에 그러하다. 하지만 그렇게 믿고 의지했던 금융 시장에 폭풍이 불어 여기저기서 난파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자동차 빅 3인 GM, 포드 그리고 크라이슬러는 2008년 유동성 위기에.. 2022. 2. 4.
북한의 문체론 형성 북한 문학사의 문체론에 관한 분석을 해보자. 특히 북한 정치체제 형성 포기 문단에 광범위하게 논의된 바 있었던 문체론에 관한 내용을 분석해본다. 그리고 이후 시대와 관련지어 북한 정치체제 이데올로기와 문학의 특성을 고찰하자. 북한 문체론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분석 대상은 '조선문학'에 등장한 평론 중 문체론에 관련된 것을 위주로 한다. '조선문학'은 조선 작가 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로서 명실상부한 북한 문학의 주요 생산 통로이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사에서 문학예술은 관제적 성격으로 권력기관에 의해 통합 관리되었다. 때문에 체제하 권력 지향적 문학의 행간 속에서 북산 사회에 대한 본질적 탐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북한문학사에서 문체론, 즉 문학 속에서의 언어와 문체가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반종파 투쟁.. 2022. 1. 30.
북한의 새로운 문학 장르의 도입과 변모 북한의 주체사상과 유일체제의 형성과정에 있어 사실상 문학은 하나의 선전매체로서 선전 선동의 수단으로 김일성을 위시한 권력 계층에 의해 적극 활용되어 왔다. 여기에서는 북한 문학사에서 새롭게 형성되었던 문학 장르인 오체르크에 관해 고찰하겠다. 새로운 문학 장르 오체르크 오체르크 북한 정치체제의 형성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문학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남한 연구소에서 제외되었다. 주체사상과 연관된 문학적 형상화의 논의에만 치중해 왔기 때문일 것이다. 사살상 오체르크라는 하나의 문학 장르만으로도 북한 정치체제 형성 과정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이 장르는 사회주의 통일전선 연대와 유일체제 형성에 밀착되어 있다. 즉, 동북아시아 문학과 정치의 관계에 있어 북한만의 독특한 정치 상황을 반영하는 이데올로.. 2022.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