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한, 삼국 시대 하남의 역사는 백제사의 중심 무대였다. 부여와 고구려계 유민이 남하하여 하남 지역에 정착, 건설한 백제는 이 지역을 근거지로 하여 고대 국가로 성장하였으며, 고구려, 신라와 함께 우리나라 고대사의 주역이 되었다.
삼국 시대의 하남
그 후 고구려가 남하하고 신라가 북으로 진출함으로써 하남 지역은 백제, 고구려, 신라 삼국의 쟁패지가 되었으며 최후로 이 지역을 차지한 신라가 한반도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처럼 하남 지역은 대한민국 고대사에 있어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백제 건국 이전
온조가 하남 일대를 중심으로 정착하여 백제국을 건설하기 이전에도 이 지역에는 먼저 살고 있던 토착 세력들이 나름대로의 정치적 발전을 이루며 존재했다. 이러한 세력의 존재는 선사 시대 미사동 유적지 조사에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런데 한강 유역의 선주민 세력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의 경우 전혀 언급이 없다. 그러나 고고학적인 검토를 통해 볼 때, 이 일대에도 일정한 정치 시력이 존재했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문헌적으로 주목되는 정치체는 <사기, 조선전>의 '진국'이다. '전번의 곁에 진국이 있는 글을 올려 천자를 뵙고자 하였으나 석거가 이를 막아 통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런데 <사기>의 환본에 따라 중국으로도 나오고 있다. 이에 의해 진국설과 중국설이 난무하나 진국설의 타당성이 인정되는 형편이다. 진국의 위치는 <사기>의 기록에 진번의 곁에 있다고 했으므로 진번의 위치에 의해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 물론 진번의 위치에 대해서도 여러 견해가 있으나 지금은 황해도 방면으로 추정하는 이병도의 견해가 통설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진국의 위치는 한강 유여을 중심으로 하는 경기도 일원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한강 유역 일대의 진국이라는 정치체가 언제 성립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조선 우거왕의 방해로 중국과 통교할 수 없었다는 <사기>의 기록이 있다. 또는 위만 조선의 우거왕 때 조선상 력계경이 동쪽 진국으로 갔다는 <위략>의 기록 등도 있다. 이에 비교하여 볼 때 늦어도 위만 조선 당시에는 진국이 성립되어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이러한 견해가 타당하다면 대략 기원전 2세기 말 경 하남 지역의 무문토기 집단들은 진국을 구성하는 세력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 백제조>에 의하면 이러한 진국설은 부정된다. 그것은 온조가 한수 이북에 도읍을 하였으나 낙랑, 말갈 등의 침략이 찾아 한수 이남(지금의 하남)으로 천도하면서 마한에 사신을 보내 이 사실을 고했다는 기록이 있다. 온조왕 24년에 왕이 능천책을 세우니 마한왕이 사신을 보내어 나무라기를 '왕이 처음에 하수를 건너 발 디딜 곳이 없자 내가 동북 1백 리 땅을 떼어 편안히 거주케 하였으니 왕을 대우함이 두터웠다 할 것이다. 마땅히 이에 보답할 생각이 있어야 하거늘 이제 나라가 완전하고 백성이 모여들어 대적할 자가 없다고 하여 크게 지역을 만들고 우리의 강역을 침범하니 의리가 그러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왕이 부끄러이 여겨 드디어 책을 헐었다는 기록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 보면 온조왕 30년 사이에 여덟 번에 걸쳐 마한과 백제와의 교섭 관계가 나타나 있다. 이것은 백제 건국기에 있어 마한과 상당히 중요한 대외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초기에는 마한이 백제의 종주국과 같이 행세하면서 위세를 떨쳤으나 점차 세력이 약화되어 신흥하는 백제에 밀려 마침내 멸망하고 만다. 앞에서 본 기원전 1세기의 경우 한강 유역 일대의 진국이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해체되었다. 그리고 그 위에 충정도를 중심으로 하는 마한이 이 지역에까지 세력을 뻗쳐 온조계 집단이 남하하였다. 때문에 백제를 건국하기 직전의 하남시 땅은 마한의 영역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세계 경제, 음악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의 새로운 문학 장르의 도입과 변모 (0) | 2022.01.26 |
---|---|
백제, 고구려, 신라의 쟁패지 하남 (0) | 2022.01.25 |
하남시의 역사(신석기~청동기) (0) | 2022.01.23 |
두 개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라단조 BWV1043 (0) | 2022.01.19 |
국가와 개인의 부가 가치 특화 (0) | 2022.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