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경제, 음악 역사

1929년 검은 목요일 시작되다

by 미끄덩덩 2021. 9. 4.

 

순차적으로 미국의 위기가 유럽으로 전염되면서 정세가 불안했던 독일 역시 자극을 받고야 만다. 이 당시 독일은 미국과 영국 그리고 프랑스의 압박을 모두 견뎌내야 하는 신세였다. 궁지에 몰린 독일의 역사는 결국 2차 대전이라는 불운한 역사의 물줄기를 따라 흐른다.

이제 양 대륙 간의 교역은 거의 끊겨 버렸다. 쓸 만한 유럽산은 관세로 인해 가격이 뛰어 버려 미국인들이 쉽게 다가갈 수 없게 되었다. 유럽의 경기가 악화되는 와중에 보복 관세로 인해 미국산 상품 수출마저 대폭으로 줄어버렸다. 그제야 사람들은 스무트 홀리 법이 경기 침체에서 시작된 불황을 급기야 대공황의 늪으로 밀어 떨어뜨려 버리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게 된다. 결국 독일의 숨통을 살리고 국제 교역에 치중해야 안정적인 전후 복구가 가능하다는 케인즈가 옳았다.

1929년 10월 10일 352.69였던 다우 지수가 동년 11월 13일 198.69로 하락해 22 거래일 만에 43.7%의 폭락을 기록했다. 1930년 4월에는 다우 지수가 294로 잠시 반등했다. 이러한 반등 추세를 믿고 후버 대통령은 과감히 스무트 홀리 법에 서명을 했었다.

 

1편 - 대공황으로 이끈 스무트 홀리 관세법

 

하지만 1929년 대공황 이전 8.9%였던 실업률은 역시 관세법 도입 이후 모두 60% 이상 급감하고 만다. 한 마디로 대륙 간의 수출입이 급격히 줄어들어 버린 것이다. 관세법이 통과된 이후 대공황을 벗어나기 위한 유일한 통로인 국제 교역이 축소되면서 시장은 더욱 비관적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다우 지수는 250에서 1932년 결국 50까지 대폭락하고 말았다.

1930년에는 또 하나의 최악의 결정인 긴축정책이 겹친다. 연준 이사회 구성원 중 대공황에 가장 큰 직격탄을 맞았던 주체는 금융의 중심지를 관장하는 뉴욕 연방준비은행이다. 그러했기에 재할인율 인하라는 과감한 정책을 독자적으로 시행해 시장을 진정시키려 했던 것이다. 특히나 월가의 거물인 모건 하우스와 영란은행 그리고 뉴욕 연방 준비은행의 삼각편대가 국제 금융 시장을 좌지우지할 정도의 막강한 힘을 발휘하던 것이다 그 시대 상황이었다.

일단 영국은 금본위 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미국의 주가는 대폭락 한 상황이다. 미 달러화 투매는 필연이었고, 차라리 안전 자산으로서 파운드화에 대한 대체 수요가 폭증했다. 이는 곧 미국의 금이 영국으로 흘러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막고자 미 재무 장관 앤드루 멜런은 미 연준에게 이자율 인상을 요구한다. 미 연준은 그 즉시 동의했고 점차 미국 경기가 개선될 것이라는 낙관론을 펼쳤다. 특히나 이 시점은 금본위 제도 하에서 애써 얻어 낸 금융 패권을 지속시키기 위해 파운드화와 경쟁을 해야만 하는 중요한 길목이기도 했다.

드디어 이자율 인상을 통한 긴축 기조가 형성되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1931년 또다시 주가 폭락의 대 향연이 펼쳐진다. 미 연준의 긴축 정책은 마치 관세법 위에 산사태가 겹친 듯한 대 폭락세를 초래했다. 결국 1932년 중반 주가는 1929년 검은 목요일 대비 10% 수준에 머무를 정도록 처참한 지경으로 몰락해 버렸다. 결국 증권 시장에 있던 총 가치 중 90%가 사라져 버렸다.

댓글